평소에 건강한 사람들은 몸상태가 이상해지면 피곤해서 그런가보다 생각하고 대수롭게 넘어가는 경향이 있는데요. 사실 겉보기에는 뭔가 달라진점이 보이지 않아서 건강의 이상상태는 잘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소변으로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데요.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게 바로 소변 색깔과 거품의 상태입니다.
소변의 기본상태
기본적으로 소변은 연한 노랑색깔이며 무취상태입니다. 그래서 평소에 보는 소변 색깔과 다를경우 건강의 이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소변은 90퍼센트 넘게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이에외 여러가지 성분이 함께 포함되어 있습니다. 요소나 요산, 무기염류, 아미노산등의 성분과 비율이 깨지면서 색깔이 변하게 됩니다.
소변 색깔이 녹색, 파란색일경우
아미트립틸린과 인도메타신과 같은 약물에 의해서 색상이 변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몸 성분으로는 칼슘혈증이라 불리는 유전적성분에 의해서 색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복용하는 약이나 요로감염등을 통해서 번식하는 세균들이 푸른색 색소를 생산한다고 하네요.
소변색깔이 빨간색
빨간색은 혈액을 포함하고 있다는 걸 의미합니다. 요로계의 감염이나 암, 결석등으로 인하여 요도가 다쳐서 출혈이 있을 수도 있고, 암같은 종양에 의해서 출혈이 발생하고 있다는 이야기인데 몇일 지켜보았다가 병원에 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드시는 음식에 따라서 빨간색 소변이 나올 수 있습니다. 당근이나 비트등에 페놀프탈레인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소변이 빨간색으로 나온다고합니다.
소변 색깔이 갈색 또는 주황색
평소의 색상과 다른 주황색 오줌이 나온다면 복용하는 비타민제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특히 비타민B가 이러한 역활을 하는데요. 소변 색깔을 주황색 혹은 형광색으로 바꾸는 성질이 있습니다. 콤파진이나 솔라진같은 진정제역시 소변색깔을 갈색으로 바꾸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소변 색깔이 콜라색
수분 보충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면 소변이 진해져서 어두운 콜라색이 됩니다. 소변의 농도는 섭취하는 수분에 달려있는데요. 목이 계속 마를 정도로 수분이 부족하다면 색이 탁해지고, 물을 많이 마시면 옅은 노랑색이 됩니다. 추가로 탈수증에 걸린다면 소변은 황금색이 되며, 소변은 공기중에서는 산화되어 색이 진해집니다.
소변의 색깔이 갑자기 변하였다면 식단이나 수분공급, 복용하는 약등 여러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일시적인 요인으로 색상이 변할 수는 있지만, 이러한 증세가 오래가거가 통증, 화끈거림, 잘나오지 않거나 이물감이 느껴질 경우는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찰을 받아보시기 부탁드리겠습니다.
소변에서 거품이 발생하는 경우
소변의 성분중에 단백질이 있는데요. 거품이 많이 생기는 원인으로 단백뇨가 있습니다. 단백뇨는 당뇨나 고혈압등으로 인해서 콩팥에서 흡수하는 단백질이 빠져나오는 현상인데요. 가만히 방치해 두면 큰 병으로 발전하니 병원에 가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