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을 많이 흘리는 것이 특징인 다한증과 같은 여러 질병으로 인해 우리의 일상은 너무나 불편할 수 있습니다. 이 감기 증후군으로 인한 고통과 피해는 신체적으로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는데 정신적 고통은 분명히 부인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상태를 관리하고 불편함을 줄이는 하는방법을 찾기 위해 다한증의 원인, 치료 및 증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234567891011121314

다한증 이란?

전신성 다한증은 전신에 땀의 분비가 심한 상태를 말하며 주로 중년층에서 발생하며 어지러움, 피로, 심계항진 등의 전신적인 발열 증상을 보입니다. 다한증은 심한 땀 분비의 발생을 말하며 국소 또는 전신성 다한증으로 나뉩니다. 국소 다한증은 신체의 한 부위에 국한된 과도한 땀 분비를 특징으로 하며 손바닥, 발바닥, 교합간 부위(팔다리 주름), 겨드랑이 부위, 사타구니(허벅지 사이의 빈 부위), 회음부, 이마, 코끝. 반면에 전신성 다한증은 주로 중년층에서 전신에 땀이 나는것이 특징이며 어지러움, 피로, 두근거림, 전신 발열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들은 감정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땀을 흘리며, 대다수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너무 심해서 사회 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얼굴, 이마, 윗입술, 입, 흉골 및 뺨에서 땀을 많이 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한증은 전신적인 체온 상승의 결과입니다. 이는 외부 열원 또는 주변 환경의 고온으로 인한 질병 때문일 수 있는데 피부의 온도 수용체에 약간의 자극이 있어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다한증 원인

다한증은 크게 손, 발, 겨드랑이, 얼굴에 국한되는 국소성과 전신성으로 분류됩니다. 우리 몸에는 약 400만 개의 땀샘이 있는데 그 중 에크린샘과 아포크린샘이 대표적입니다. 주로 손바닥과 발바닥에서 발견되는 에크린 땀샘은 대부분 다한증의 원인입니다. 건강한 땀 생산 수준은 매일 0.5~1mL입니다. 그러나 다한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하루에 최대 10L의 땀을 흘릴 수 있습니다.

겨드랑이나 회음부에 있는 아포크린 땀샘은 열을 발산하는 기능을 하는 에크린 땀샘과 달리 끈적끈적하고 냄새나는땀을 분비합니다. 오늘날 아포에크린 땀샘은 성인의 겨드랑이에 위치하며 에크린 땀샘과 아포크린 땀샘의 특징이 결합되어 있습니다.

다한증 증상

성인의 약 0.6~1.0%가 원발성 다한증을 앓고 있으며 증상이 장기간 불변하는 경향이 있다가 민감도가 높아지는 사춘기에 악화됩니다. 손발, 얼굴, 머리, 겨드랑이와 같이 땀샘이 증가한 부위에서 나타나는경향이 있습니다.

손 다한증

다한증을 앓고 계시다면 손에서 땀이 많이 나실 확률이 높습니다. 펜을 들고 종이에 글을 쓰면 땀에 종이가 젖고, 마찬가지로 대중교통 손잡이를 잡으면 손에 땀이 난다. 군대에서 총기를 분해해야 할 때 맨손으로 쥐는 것만으로도 식은땀이 흘렀다.

겨드랑이 다한증

겨드랑이 다한증이 있으신 분들은 남들보다 겨드랑이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고, 컬러 옷을 입으면 쉽게 젖어 일상생활에 불편함과 정신적 고통을 주게 되어 한두 가지 이상의 고민을 하게 됩니다.

 

안면 다한증

안면 다한증을 앓는다면 화장도 할 수 없고 로션이나 크림도 땀에 씻겨 나가기 때문에 더욱 불편하다.

전신적 다한증

국소 다한증은 감지되고 경험할 수 있는데 전신성 다한증은 일반적으로 건강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합병증이 있는 장기적인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신성 다한증의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다한증 치료법

약물 치료와 수술은 다한증의 두 가지 치료법입니다.

    염화알루미늄의 성분으로 손, 발, 겨드랑이 등 땀이 많이 나는부위에 바르는 외용제. 이온영동법, 환부를 물에 담가 전류를 전달하는 하는방법, 교감신경절단술, 외과적 수술

다한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좋은 음식을 꾸준히 섭취하고 증상을 개선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한증에 좋은 음식

1. 토마토, 오이

성질이 찬 음식이라고 하는 토마토는 땀을 억제하고 해열과 갈증을 해소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토마토는 먹기 힘들면 갈아서 먹어도 된다.

오이는 이뇨 작용으로 체온 조절에 도움을 주고 체내 수분을 배출시켜 다한증으로 인한 다한증에 도움이 됩니다. 또 오이의 이뇨 효과는 오이를 더욱 유익하게 만듭니다.

2. 연근

다량의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는 연근을 섭취한다면 긴장과 스트레스는 물론 체온을 낮출 수 있습니다. 해열과 해갈에 매우 이롭고 다한증을 예방합니다. 또 연근에서 발견되는 성분인 뮤신은 위와 장의 소화 시스템을 보호합니다. 또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노화의 영향을 피하는 데 좋습니다.

3. 홍차

홍차로 우려낸 티백을 땀이 난 부위에 올려놓고 10분 정도 방치한다면 홍차에 함유된 폴리페놀(탄닌산)로 인해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항산화 특성으로 잘 알려진 이 홍차 성분은 섭취 시 특정 물질의 분비를 조절합니다.

4. 메밀

메밀은 다른 곡물에 비해 아미노산, 비타민, 라이신 등의 함량이 높지만 위장이 약하거나 혈압이 낮은 사람은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뇨 작용이 있어 고혈압 치료, 성인병 예방, 간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몸의 열을 식히고 땀을 많이 흘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