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고 있지만 지난해부터 미국 환율이 꾸준히 오르고 있습니다. 2년 전만 해도 저환율 시대에 달러가 휴지조각이 된다는 말이 많았지만 경제 상황은 원유가 그렇듯 늘 예측하기 어렵다. 다음으로 달러 강세의 원인과 고환율 시대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향후 전망은 어떠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달러의 원인은 힘이다
지난주의 경우 원-달러 환율은 중국 경기둔화 우려와 미 연준의 긴축정책 지속 등으로 환율이 상승하면서 거의 한 달 만에 1,300원 폭락했습니다. 그러다가 18일 목요일 7월 FOMC 발표가 매파적으로 해석되어 1300승이 아주 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FOMC 회의록에는 물가상승률 2%대로 돌아가고 싶다는 바람이 있고, 경제나 인플레이션 영향이 정상화 정책으로 검토되고 있어 속도가 느렸다는 발언도 나타납니다.실행됩니다.결국 ①엄격한 정책이 퍼스트달러 강세의 원인이다.
그리고 미국 외에 중국과 유럽 국가들이 미국보다 더 안 좋은 상황에 처해 있어 위안화와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달러 강세의 2번째 이유는 비달러 통화의 약세가 가속화되었기 때문입니다.
달러가 계속해서 강세를 보이면 어떻게 될까요?
지난 코로나19 위기 때 일어난 일인데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 돈이 나오고 외국인들이 급하게 돈을 달러로 바꿔 외화를 소유하는 게 문제가 됩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환율이 오르면서 더 높은 가격에 사야 합니다. 초기 판매 가격은 고정되어 있지만 제품이 비싸지면 매출 감소로 이어지고, 매출 감소는 동시에 주주들에게 회사의 손익 감소로 이어진다. 소비자들도 물가가 오르면 소비 심리가 위축돼 경기 침체를 겪었습니다. 다만 달러가 강세일 때 그에 맞는 투자처가 있는데 달러에 투자하거나 달러주식을 보유한다면 외화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어쨌든 본인이 판단을 내려야 할 것 같습니다.
달러 환율 예측
이번 주 8월 25일(목)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이튿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잭슨홀 회의가 예정돼 있습니다. 또 8월 또는 9월경 FOMC 회의 또는 비달러 통화의 움직임이 큰 관건이 될 것입니다.
달러를 기본부터 잡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적당한 차익이 있으면 매도하는 것도 좋은 하는방법으로 보이지만 한국과 미국의 정책 방향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