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수명이 100세 까지 도달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한국은 고령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주위에 나이든 사람들이 점점늘어나게 되었고, 국민연금도 납부하면서 노후를 대비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나이한살한살 먹어가면서 국민연금이 우리들에게는 최소한의 준비가 되었습니다.

 

전국 국민연금 수급자 수 추세

국민연금은 1988년도 부터 직장인(근로자)를 기준으로 최초로 실시되었습니다. 그후 1999년에 전 국민에게 대상이 확대가 되었고 국민들은 국가에서 보장하는 연금을 받게 되었는데요. 인구수가 빵빵하다면 부양인구(자손)들이 연금액을 충당하지만 현 인구절벽 상황에서는 국가에서 연금을 보장받는 시기를 늦출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여하튼 전국 국민연금 수급자는 600만명을 돌파를 하게 되었고, 부부합산 최고 금액은 446만, 개인의 경우 246만으로 생활하는데 아무 지장없는 수준으로 연급 수급이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방법 안내

 

자, 그럼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는 어떻게 하면 될까요? 우선 검색창에 국민연금납부액 조회를 검색 해주세요. 연금공단 홈페이지가 상단에 나타나는데요. 본인이 납부했던 금액과 얼마나 추후 받을 수 있을지 확인이 가능하답니다.

 

가입 납부내역 조회

홈페이지상에서는 본이인증이 필요없이 예상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나 개개인이 납부하는 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연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간편인증이나 공동인증서,카카오페이등으로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

 

 

 

총 납부내역(가입내역)

총 101개월동안 납부한 국민연금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바로 아래에는 총 납부금액과 납부예정금액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납보험료(납입예정 보험료 포함)은 나중에 납입할 금액이니 지금 당장 해당되는 내역은 아닙니다. 아래쪽에는 예상 연금월액(노령연금)과 예상연금액, 총 예상 가입기간(납부개월) 총 예상 납부 보험료등이 있으며, 전체 연금내역 조회를 하실 수 있습니다.

 

 

예상연금액 조회 방법

추가로 국민연금납부액 조회 옆쪽을 보시면 예상연금액 조회가 있습니다. 클릭후 왼쪽편의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 를 눌러주시면 예상연금액 조회가 가능합니다.

 

예상 노령연금액 조회

연기연금 신청자 예상연금월액 조회의 경우 왼쪽 상단 버튼을 통해서 이동하시면 되시며, 노령연금액은 물가에 따라서 조금씩 변할 수 있습니다. 예상연금액은 최근 5년간의 소득 상승율로 계산이 되며, 최저 3.3, 최고 4.9로 계산이 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